예년의 시험에서 질적 연구의 엄격성에 관한 문제가 출제된 바 있다. 질적 연구는 연구자 자신이 자료수집의 중요한 도구가 된다. 연구자의 관찰과 통찰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므로 자칫 잘못하면 주관적인 연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무엇보다 연구결과의 엄격성이 중요하다. 

 

● 질적 연구의 엄격성

•연구자와 연구대상자 간의 장기간에 걸친 관계형성은 연구대상자의 반응성과 연구자의 편견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연구자의 지나친 몰입으로 인해 관찰과 해석에 있어서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다른 동료연구자들의 점검을 통해 자료수집과 해석에 있어서 편견이나 문제점을 점검한다.

•연구자가 연구대상자에게 관찰결과와 해석의 정확성에 대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연구자의 해석에 적합하지 않은 예외사례를 충분히 찾아보도록 한다.

•연구자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이 연구결과를 살펴볼 수 있도록 자료수집 및 분석의 과정을 모두 기록하고 공개한다.

 

● 다원측정/삼각측정/다원화/다각화(triangulation)

•질적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 중에 하나이다. 측정오류를 최소화하고 조사자나 조사대상자의 편견과 오류를 수정, 완화하고 자료수집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이다. 마치 사건을 취재하는 기자가 자신이 얻은 정보나 사건에 대한 문제의식의 사실 여부와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취재원을 통해 확인하는 것과 유사하다.

•대표적인 유형으로 이론의 다원화(하나의 자료를 해석하기 위해 다양한 이론과 복수의 관점을 활용, 대조적인 이론적 지향을 가진 동료 연구자가 자료를 분석), 연구방법의 다원화(한 연구에서 여러 가지 연구방법을 함께 활용), 관찰자 다원화(한 연구에서 여러 명의 관찰자가 관찰), 자료의 다원화[다양한 출처의 자료(면접, 문헌자료, 관찰자료 등)를 활용], 학제 간 다원화(다른 학문영역에 있는 연구자들과 공동으로 연구)가 있다.

 

도움이 되었습니까?
0명 중 0명이 도움이 되었다고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