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과제성취척도를 예를 들어 설명해주세요.
A 과제성취척도는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가 합의한 과제를 성취한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초선을 설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지 주어진 과제를 얼마나 잘 설정했는지 확인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기초선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일단 시간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금연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참가자가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일단 기초선을 설정해서 일주일간 얼마나 많은 양의 담배를 피우는지 측정합니다. 하루 평균 5개비가 나왔다고 하겠습니다. 사회복지사는 개입 전에 흡연량을 하루 평균 담배 2개비 이하로 줄이기로 목표를 설정하고 개입을 시작합니다.
이런 과정을 거치는 것이 단일사례설계의 기본적인 흐름입니다.
하지만 과제성취척도에서는 기초선 설정단계 없이 바로 하루 평균 흡연량을 1개비 이하로 줄이기로 목표치를 설정합니다. 즉, 과제를 설정합니다. 그리고 그 과제를 얼마나 잘 이행했는지를 체크합니다. 따라서 기초선을 설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시간이 절약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시간이 부족할 때 사용하면 좋은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