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욕구조사의 자료수집방법에 따라 파악할 수 있는 욕구유형에 차이가 있다고 하던데요. 그와 관련해서 설명해주시면 좋겠습니다.

Q 욕구조사의 자료수집방법에 따라 파악할 수 있는 욕구유형에 차이가 있다고 하던데요. 그와 관련해서 설명해주시면 좋겠습니다.

A 욕구조사를 위해 어떤 자료수집방법을 이용하는가에 따라 파악할 수 있는 욕구 유형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시험을 위해 여러분들이 특히 구분해두어야 하는 몇 가지 예를 들어볼게요.

 

먼저, 일반인구나 표적인구에 대해 서베이(설문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욕구조사를 하는 경우 파악할 수 있는 욕구는 브래드쇼의 욕구 유형 중 인지적 욕구입니다. 인지적 욕구는 사람들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것을 말해요. 예를 들어, 설문조사에서 “귀하는 우리 지역에 어떤 서비스가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이 있을 때 응답자가 특정 서비스를 골라 체크하는 방식은 각각의 응답자가 느끼기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욕구를 파악하는 것이므로 인지적 욕구가 됩니다.

 

한편, 사회복지기관의 서비스 이용기록이나 대기자명단과 같은 행정자료를 분석하는 자료수집방법은 표출적 욕구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영어공부가 필요하다고 느끼는 것과 영어학원에 실제로 등록하는 것은 차이가 있어요. 살을 빼고 싶다고 느끼는 것과 운동이나 식이요법을 통해 다이어트를 실제로 하는 것 또한 차이가 있어요. 전자가 인지적 욕구에 해당된다면, 후자는 욕구를 실제 행동으로 표현하는 표출적 욕구에 해당됩니다. 무엇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해 A가 필요하다고 대답하는 것과 A라는 프로그램에 실제 참여하는 것 또한 차이가 있습니다. 전자는 보통 서베이조사를 통해 파악할 수 있는 인지적 욕구라면, 후자는 실제 참여자 명단이나 신청자 및 대기자 명단 등을 확인하여 파악할 수 있는 표출적 욕구에 해당됩니다. 여러분이 서울역에서 무료급식을 하고, 이에 대한 수요가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기존에 운영되던 무료급식 프로그램 이용 인원이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본다면 이는 표출적 욕구에 기초한 욕구조사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른 조건이 비슷한 두 지역의 빈곤율이나 주택보급률, 출산율 등 사회지표를 분석함으로써 파악할 수 있는 욕구에는 상대적 욕구가 있습니다. 지역의 규모가 비슷한 A와 B 두 지역에서 빈곤률에 차이가 있다면 상대적으로 빈곤율이 높은 지역에서 빈곤 관련 지원에 대한 욕구가 크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의 합의를 도출하는 데 초점을 두는 델파이 기법의 경우 규범적 욕구를 파악하기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의 판단에 의해 욕구가 규정되는 방식이 바로 규범적 욕구이기 때문입니다.

 

욕구조사의 여러 방법들과 욕구유형을 “이것은 무조건 이것이다”라고 규정할 수는 없지만, 욕구조사를 위한 자료수집방법과 욕구유형을 제대로 이해한다면, 이 둘의 관계를 연결지어 이해하는 일 또한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도움이 되었습니까?
0명 중 0명이 도움이 되었다고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