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사회복지행정의 주요 가치 중에서 효과성, 효율성, 접근성이 헷갈립니다. 사례를 들어서 설명해주세요.

사회복지행정의 주요 가치 중에서 효과성, 효율성, 접근성이 헷갈립니다. 사례를 들어서 설명해주세요.

A 효과성은 목표가 얼마나 달성되었는가와 관련되는 가치기준이며, 효율성은 투입된 자원에 비해 산출된 효과가 얼마나 큰가와 관련되는 가치기준입니다. 한편, 접근성은 클라이언트가 서비스 이용에 대해 느끼는 물리적, 심리적 거리와 관련되는 가치기준입니다.

 

예를 들어, 한 기관에서 재가 당뇨 어르신들의 건강증진을 위해 각각 10명의 과체중 당뇨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1:1 전문가 맞춤 트레이닝 프로그램과 배드민턴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가정해봅시다. 이때 1:1 전문가 맞춤 트레이닝 프로그램은 총 600만원의 비용이 소요되었으며, 이 프로그램을 통해 6명의 어르신들이 정상체중이 되었고, 배드민턴 프로그램은 총 100만원의 비용이 발생하였고, 이 프로그램을 통해 4명의 어르신들이 정상체중이 되었다고 합시다. “얼마나 많은 당뇨 어르신들이 정상체중에 도달했는가?”의 효과성 측면에서 살펴본다면 1:1 전문가 맞춤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결과가 좋지만, 투입된 비용을 고려하였을 때는 그렇지 않지요? 배드민턴 프로그램은 한 분의 어르신을 정상체중이 되도록 돕는데 25만원 밖에 소요되지 않은 반면, 1:1 전문가 맞춤 트레이닝 프로그램은 무려 100만원이 소요되었습니다. 이런 경우, 1:1 전문가 맞춤 트레이닝 프로그램은 배드민턴 프로그램에 비해 효과성은 높지만, 효율성은 낮은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겠죠. 반면 배드민턴 프로그램은 1:1 전문가 맞춤 트레이닝 프로그램에 비해 효과성은 낮지만 효율성은 높은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편,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대부분의 기관에서는 셔틀버스 서비스를 제공하고, 글자를 모르는 어르신들을 위하여 안내책자를 배포하기보다는 직접 사회복지사가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하고 신청서를 대신 작성하곤 하는데요. 이 역시 접근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었습니까?
0명 중 0명이 도움이 되었다고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