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회, 6회 시험에 출제된 이후 16회 시험에 등장한 내용이다. 사회복지조직이 어떤 성격을 갖는지를 토대로 어느 유형에 속하는지 정도는 한번쯤 살펴보자.
● 권력의 형태에 따른 분류
에찌오니(Etzioni)는 복종관계에 의하여 조직의 유형을 분류하고 있는데, 복종관계란 ‘상급자가 하급자를 통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권력과 이에 대한 하급자의 태도에 의해 이루어지는 관계’를 말한다. 권력의 종류와 관여의 종류에 따라 9가지 조직 유형을 제시하였다.
•권력의 종류: 강제적 권력(신체적 탄압, 위협), 보상적 권력(물질, 금전), 규범적 권력(지위, 명예, 존엄)
•관여의 종류: 소외적 관여(권력 행사자에 대한 강한 부정, 강제적 권력 필요), 타산적 관여(획득한 보상에 따라 권력에 대해 다소 무관심), 도덕적 관여(권력 행사자에 대한 강한 긍정, 규범적 권력 필요)
에찌오니의 조직 유형
● 클라이언트의 유형에 따른 분류
블라우와 스콧(Blau & Scott)은 1차적인 클라이언트(수혜자)가 누구인가에 따라 조직을 분류하였다.
블라우와 스콧의 조직 유형
● 업무의 통제성에 따른 분류
길버트 스미스(G. Smith)는 업무의 통제성에 따라 사회복지조직을 관료제와 일선조직, 전면적 통제조직, 투과성 조직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스미스의 조직 유형
● 클라이언트의 상태와 조직의 기술에 따른 분류
하센펠트(Hasenfeld)는 조직에서 사용하는 기술을 인간유별·배치기술, 인간유지기술, 인간변화기술 등 3가지로 구분하였다. 또한 클라이언트의 유형을 정상과 비정상으로 나누고, 이에 따라서 사회적으로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한다고 인정되는 개인(정상 기능)의 복리를 유지·강화하는 것이 주된 임무인 조직과 사회적으로 역기능을 한다고 판정된 병적이거나 일탈적인 행위자(비정상 기능)에 대한 통제·개선·치료를 주요 임무로 하는 조직으로 구분하였다.
•인간유별·배치기술: 클라이언트의 개인적인 속성은 변화시키지 않고, 오히려 다른 사회적 집단으로부터 바람직한 반응을 야기하는 공식적인 지위를 부여함으로써 클라이언트의 변화를 시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지적장애아동 등과 같이 클라이언트를 식별, 분류, 배치하는 기술을 말한다.
•인간유지기술: 클라이언트의 개인적인 복지와 안녕을 현상태로 유지하며 위험요소를 완화시키려는 기술이다. 클라이언트의 개인적인 속성을 직접적으로 바꾸려는 시도는 하지 않는다. 병약한 노인을 위한 요양보호, 최저생활수준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한 소득보장프로그램 등이 이 기술의 예이다.
•인간변화기술: 클라이언트의 복지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직접적으로 클라이언트의 개인적인 속성에 변화를 주는 데 목적이 있다. 예컨대 심리치료, 교육, 의학적 치료 등을 말한다.
하센펠트의 6가지 조직 유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