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회 시험에서 평가도구에 관해 출제된 바 있으나 그 이후 출제되지 않다가 18회 시험에 다시 등장한 내용이다.

 

● 직무평가의 원칙

•평가대상자의 참여와 관여 속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모든 대상자들에게 일관되게 적용되는 방법과 기준을 사용해야 한다.

•업무활동에 대한 피드백을 위해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평가대상자가 수행한 업무와 결과, 행동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문제를 악화시키기보다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데 기본적인 목적이 있다.

•생산성, 효율성, 효과성, 서비스의 질 등을 기준으로 평가를 진행한다.

 

● 직무능력평가 도구의 유형

•도표평정식: 왼쪽에 평가 기준이 되는 요소를 나열하고 오른쪽에 직무수행의 등급을 나열하여 평가자가 체크한다. 직위 간에 직무의 차이를 구별하지 못하는 단점과 평가요소가 일반적이라 일반적인 평가밖에 할 수 없다.

•개조서열식: 각각의 평가요소에 대해서 모든 직원을 등급별로 분류하도록 한다. 평가자들이 모든 직원들에 대해 최상에서 최하까지 등급을 부과한다. 1등부터 꼴등까지 순위가 매겨지는 방식이다. 평가에 따라 서열이 매겨지므로 지나친 경쟁을 일으킬 수 있다.

•이분비교식: 각각의 평가요소에 대해 평가하는 직원과 비슷한 직위의 다른 사람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평가를 부여한다. 자신을 제외한 나머지 같은 서열 내의 다른 직원들과 비교한다. 평가요소가 다소 구체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강제배분식: 많은 사람들을 평가할 때 강제적으로 등급별 비율을 정하여 상대평가를 진행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상대평가 방식이 이에 속한다.

•중요사건평가식: 특별히 결과가 좋았던 업무와 나빴던 업무를 기록하게 하여 좋았던 업무는 강화하고 나빴던 업무는 교정하여 검토하는 척도이다.

•행동계류평정식: 중요사건을 전문가를 이용한 델파이 기법을 통해 그 사건과 관련된 행동의 효과성에 대해 평가하여 등급을 부과한다. 타당성이 높은 기법이지만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도움이 되었습니까?
0명 중 0명이 도움이 되었다고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