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사례설계의 특성
- 단일사례연구의 1차적인 목적은 가설의 검증에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떤 표적행동에 대한 개입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 하나의 대상 또는 사례를 가지고 반복적인 측정을 통해 개입의 효과를 평가한다.
- 개인이나 집단뿐만 아니라 조직이나 지역사회도 연구대상이 될 수 있다.
- 조사연구의 과정이 실천 과정과 분리되지 않고 통합 가능하다.
- 개인의 효과성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을 얻을 수 있다.
- 기초선 단계에서 경향을 충분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개입을 지연시키는 것은 윤리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다.
- 단일사례연구만으로 인과관계를 확신하기는 어렵다.
- 조사연구의 대상이 하나의 사례에 국한되기 때문에 그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제약이 따른다.
단일사례설계의 기본 구조
▶ 기초선단계
- 연구자가 개입하기 이전 단계로서 ‘A’로 표시한다.
- 개입 전의 문제상황, 표적행동을 반복 측정하여 경향을 알아내는 단계로서 통제집단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한다.
- 충분히 관찰이 이루어질 때 단일사례연구의 내적 타당도가 향상된다.
- 그래프에 시간 순서대로 측정점을 표시하고 측정점들을 줄로 연결한 후 그래프 경향을 관찰한다.
▶ 개입단계
- 표적행동에 대한 개입이 이뤄지는 기간이다.
- 이 기간 동안에는 표적행동의 상태에 대한 관찰을 병행해야 한다.
- 단일사례설계의 구조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개입국면을 일반적으로 ‘B’로 표시한다.
- 개입단계에서는 측정을 하는 사람, 장소, 측정방법, 기타 조건을 기초선 단계와 동일하게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