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적 접근의 등장 배경
- 전통적 방법론에 따른 접근은 주로 특정 문제를 중심으로 개입함에 따라 복합적인 문제에 대해 개입하기 위한 방법론을 모색하게 됨
- 전통적인 방법은 지나친 분화와 전문화로 서비스가 파편화되고 각 전문 영역 사이의 의사소통이 어려워짐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게 됨
- 1929년 밀포드 회의를 통해 사회복지실천에서의 공통 요소를 발표
통합적 방법론의 특징
- 사회복지실천 과정에서 개인, 집단,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개입할 때 적용할 수 있는 원리나 개념 등 공통된 기반이 있음을 전제로 함
- 인간이나 환경 중심의 접근으로 이분화하는 것이 아니라 이 두 체계 간의 공유영역에 개입함
- 일반주의 접근
- 순환적 인과론 적용
- 경험적으로 검증된 개입방법 선호
통합적 방법에서 지향하는 실천요소
- 생태체계적 관점
- 광범위하고 포괄적으로 문제를 규정함
- 개인, 가족, 집단, 지역사회 등 다양한 수준에서 접근
- 체계와 환경 간 관계를 중요시함
- 이론과 개입방법을 개방적으로 선택함(다양한 이론과 개입방법을 선택적으로 활용, 특정 이론을 고집하지 않음)
- 사회복지실천과정을 점진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즉 문제해결 과정으로 봄
‘환경 속의 인간(PIE)’ 관점
- 개인과 환경 간 상호작용 증진의 책임을 개인, 환경 모두에게 두는 것을 의미
- 인간이 경험하는 각종 사회복지적 문제를 개인 또는 환경 중 어느 한쪽의 결함으로 보기보다는 개인적 요소와 환경적 요소가 서로 어우러져 나타난 결과로 보는 관점
- PIE 분류체계: 사회적 기능수행상 문제, 환경상 문제, 정신건강 문제, 신체건강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