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베이 방법의 특징
- 대규모 모집단의 특성을 기술하는 데 유용하다.
-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가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 표준화된 설문지를 사용함으로써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 외생변수의 통제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함에 있어 내적 타당도가 결여될 수 있다.
- 한 시점에서 끝나는 경우가 많아 시계열적인 정보를 얻기 어렵다.
설문지 질문의 형태
- 개방형 질문: 미리 정해진 응답범주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응답자의 생각, 느낌, 의견 등을 자유롭게 기록할 수 있는 형태이다. 응답할 수 있는 응답범주를 모두 파악하기 힘든 경우나 응답범주가 너무 많아 열거하기 힘든 경우에 적절하다.
- 폐쇄형 질문: 응답자에게 미리 정해진 응답범주를 제시하여 특정한 응답 범주를 선택하도록 하는 형태이다. 가능한 응답범주가 제한적일 경우에 적절하며, 응답범주는 포괄적이고 상호배타적이어야 한다.
질문 응답범주의 형식
- 찬반형 질문: “예-아니오”, “찬성-반대”와 같이 간단한 찬반양론을 묻는 질문에 적당한 형태이다.
- 다항선택형 질문: 여러 개의 응답 범주 중에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범주를 선택하도록 하는 질문으로 보통 3~5개의 선택 항목으로 구성된다.
- 서열형 질문: 일련의 응답범주들에 대한 중요성, 선호나 우선순위 등에 따른 순서에 따라 선택하는 질문이다.
- 평정형 질문: 강도를 달리하는 응답범주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다.
- 행렬식 질문: 여러 개의 질문들이 동일한 응답 범주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사용한다.
설문지 질문의 구성
- 질문의 내용을 응답자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작성해야 한다.
- 응답자의 능력과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구성해야 한다.
- 추상적으로 질문하기보다는 구체적으로 질문해야 한다.
- 유도질문과 이중질문은 피해야 한다.
- 질문 내에 어떤 가정이나 암시는 피해야 한다.
- 편견을 내포하는 용어나 서술은 피해야 한다.
- 응답 범주에 애매하거나 막연한 내용이 포함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설문지 질문의 배열
- 흥미롭고 답하기 쉬운 질문을 먼저 배치해야 한다.
- 민감한 질문이나 개방형 질문은 뒷부분에 배치해야 한다.
- 질문을 논리적으로 배열해야 한다.
- 응답군이 조성되지 않도록 문항을 적절히 배치해야 한다.
- 신뢰도를 검사하는 질문은 서로 떨어지게 배치해야 한다.
- 일반적인 것을 먼저 묻고 특수한 것을 뒤에 물어야 한다.
- 질문지에는 표지, 응답지침 등을 포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