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정 척도
- 평가자가 측정대상의 연속성을 전제로 하여, 일정한 등급법에 따라 평가함으로써 대상의 속성을 구별하는 척도이다.
- 대부분 서열척도이지만 항목 간 거의 비슷한 정도의 차이가 있다고 가정하면 등간척도로 간주할 수도 있다.
리커트 척도
- 단순합계척도의 대표적 방법이며, 설문조사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 개별문항에 응답자가 답한 점수를 합산해 해당 개념의 점수를 산출한다.
- 각 문항들은 동등한 가치를 가지며, 총점에 따라 서열이 새겨진다.
거트만 척도
- 누적척도이며, 단일차원적 척도의 대표적인 방법이다.
- 개별 항목들이 일정한 기준에 의해 일관성 있게 서열을 이루고 있다.
- 예측성이 높으며, 복잡한 계량적 과정 없이 쉽게 서열적으로 척도화가 가능하다.
- 척도를 구성하는 질문문항의 내용을 강도에 따라 일관성 있게 누적적이 되도록 작성하기 쉽지 않다.
- 각 문항들 간에 서열이 매겨진다.
의미분화 척도
- 개념에 함축된 의미를 평가하기 위해 고안한 척도이다.
- 일직선으로 도표화된 척도의 양극단에 서로 상반되는 형용사를 배열한다.
사회적 거리 척도
- 보가더스가 인종적 편견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제시한 척도로서, 누적척도에 해당된다.
- 응답자 자신과 다른 사회적 범주(국적, 인종)의 구성원 간에 인지되는 거리감을 측정한다.
써스톤 척도
- 리커트 척도의 단점을 보완하는 등간-비율 척도이다.
- 어떤 사실에 대해 가장 우호적인 태도와 가장 비우호적인 태도를 나타내는 양 극단을 등간격으로 구분하여 여기에 수치를 부여함으로써 등간척도를 구성한다.
- 등간 성격을 갖는 척도를 만들기 위해 문항평가자들을 통해 사전평가 시행 후 결과를 분석하여 각 문항에 대한 중앙값을 척도치로 부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