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키워드 099 : 사회복지실천기술에 대한 이해

 

사회복지실천기술의 특징

  • 클라이언트의 욕구에 반응하여 클라이언트의 사회적인 기능을 향상시킴
  • 상황에 맞는 실천기술을 선택하고 활용하는 능력이 필요
  • 다양한 이론이나 방법적 요소들을 적절하게 선택적으로 활용
  • 실천기술은 사회복지사의 자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실천지식을 기반으로 개발되고 학습될 수 있음
  • 현장에서의 훈련, 재교육, 전문적 자문 등을 통해 실천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음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가치

  • 기본적 권리에 대한 존중
  • 개인의 존엄성과 독특성에 대한 존중
  • 자기결정의 원리
  • 사회적 형평성의 원리
  • 개인의 복지에 대한 사회와 개인 공동의 책임
  • 사회적 책임감

 

사회복지실천가로서 요구되는 역할

  • 조력자: 클라이언트가 자기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필요한 자원을 찾아낼 수 있도록 돕는 기술
  • 중개자: 욕구가 있는 사람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연결시켜주는 기술
  • 옹호자: 클라이언트의 편에 서서 클라이언트를 대신하여 그의 입장을 직접 대변하는 기술
  • 교사: 클라이언트에게 새로운 정보나 지식, 기술을 배울 수 있도록 도와주고 직접 가르치는 기술
  • 행동변화가: 클라이언트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기술
  • 자문가: 다른 전문가들과 일하면서 그들이 더욱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원조하는 기술
  • 행정가: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수행하는 데 필요한 행동들을 실행하는 기술
  • 지역사회계획가: 지역사회 집단들이 그 지역의 사회복지 욕구를 위하여 효과적으로 계획하도록 돕는 기술
  • 행동가: 클라이언트의 인권을 보호하기 위한 활동에 참여하는 기술

 

주요 실천기술

  • 경청: 단순한 듣기가 아닌, 클라이언트의 사고와 감정을 이해
  • 관찰: 클라이언트의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을 살펴보면서 클라이언트의 감정과 표현의 차이를 파악
  • 질문: 클라이언트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한 기술
    • 개방형 질문: 클라이언트의 생각, 감정 등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질문
    • 폐쇄형 질문:‘예’, ‘아니요’ 대답만 요구하거나, 간단한 단답형 대답만 요구할 때
    • 폭탄형, 유도형, 왜? 질문 등은 피해야 함
  • 명료화: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처지에 대해 좀 더 분명하고 객관적인 인식을 갖도록 도움
  • 해석: 클라이언트의 표현과 행동 상황 등을 토대로 사회복지사가 이를 분석하여 설명함
  • 초점화: 클라이언트의 말이 두서가 없을 때 다시 본래 주제로 돌아오게 하는 기술
  • 자기노출: 사회복지사가 원조과정에서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자신의 경험을 클라이언트와 함께 나눔
  • 의뢰: 다른 기관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연결
  • 옹호: 클라이언트가 권리를 누릴 수 있도록 클라이언트에게 불리한 절차, 정책 등을 수정 또는 개선하는 활동으로, 이때 클라이언트는 개인, 가족, 집단, 지역사회 등이 될 수 있음

 

도움이 되었습니까?
1명 중 0명이 도움이 되었다고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