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복지의 태동기(1890~1910년대)
- 산업화 및 남북전쟁으로 인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으로 영국의 영향을 받아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운동이 추진됨
- 사회진화론, 실용주의, 자유주의, 급진주의 등의 이념이 작용
지역사회복지의 형성기(1920~1950년대)
- 현대적 공동모금 및 지역사회복지기관 간의 협의회 등이 형성
- 지역사회조직화의 발달
지역사회복지의 정착기(1960년대 이후)
▶ 1960년대
- 빈곤과의 전쟁으로 연방정부의 책임 확대
- 1965년 헤드스타트 프로그램 도입
- 로스만의 3가지 실천모델 제시
- 인종차별철폐운동, 여성해방운동 등 시민권 운동의 성장 → 지역사회조직사업 촉진으로 이어짐
▶ 1970년대 이후
- 반복지주의적 물결 태동
- 1981년 레이거노믹스로 일컬어지는 신보수주의의 세력화 과정에서 사회복지에 대한 정부지원 축소
- 사회복지 영역의 민영화
- 정부, 공공 부문의 복지보다 가족, 자조가 강조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