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의 개념
- 지리적 의미의 지역사회: 지리적, 공간적 속성에 근거한 집단
- 기능적 의미의 지역사회: 공통의 이해관계나 특성에 따라 모인 집단
- 지리적 의미의 지역사회에서 기능적 지역사회 개념으로 변화
- 시간과 공간을 뛰어 넘는 사이버공동체, 가상공동체(virtual community) 등 새로운 형태의 지역사회 출현
지역사회에 대한 다양한 정의
- 파크와 버제스(Park & Burgess) ─ “지역사회라는 용어는 한 지역을 구성하는 사람들과 조직들의 지리적 분포라는 견지에서 고려될 수 있는 사회와 사회집단에 적용된다. 모든 지역사회는 사회이지만, 모든 사회가 지역사회는 아니다.”
- 맥키버(MacIver) ─ “지역사회란 모든 형태의 공동생활지역으로서 부락 혹은 읍, 시, 도, 국가 혹은 더 넓은 지역까지도 포함한다. 어느 지역이 지역사회로 불리기 위해서는 다른 지역과 구별될 수 있어야 하고, 공동생활이란 그 지역의 개척자들이 부여한 특별한 의미를 가질 수 있는 자체적인 특성을 지녀야 한다.”
- 워렌(Warren) ─ “지역사회는 지역적 접합성을 가지는 주요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는 사회적 단위 및 체계의 결합이다.”
- 힐러리(Hillery) ─ “지역사회는 지역적 영역, 공동의 유대, 사회·문화적 상호작용 등의 3가지 구성요소가 나타난다.”
지역사회를 바라보는 이론적 관점
- 지역사회 상실이론: 도시화로 인해 전통적인 공동체는 쇠퇴했다고 보는 관점으로 지역사회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잃어버린 것으로 간주
- 지역사회 보존이론: 상실이론에 대한 반론으로 제기된 이론. 도시에도 전통적 농촌사회와 같이 혈연, 이웃, 친구 등을 통해 사회적 지지를 받음
- 지역사회 개방이론: 기존의 지역성이라는 한정된 범주를 넘어 기능적 의미를 포괄. 사회적 지지망의 관점에서 비공식적 연계를 강조
공동사회와 이익사회(퇴니스)
서구 사회의 역사적 발전을 ‘공동사회 연합체 → 공동사회 협의체 → 이익사회 협의체 → 이익사회 연합체’의 순서로 설명
- 공동사회 연합체: 가족, 혈연, 이웃이나 친구를 통한 관계. 가족중심의 비공식복지
- 공동사회 협의체: 공동의 노동이나 직업적 소명에 기초한 관계. 교회나 길드 등에 의한 초기 형태의 공식복지
- 이익사회 협의체: 합리성 및 이해타산에 기초한 관계. 민간에 의한 자선적 조직 강조. 아직은 미약한 공식복지
- 이익사회 연합체: 산업화로 피폐해진 인간관계의 회복과 사회적 연대의 가치를 강조. 공식적·제도적 복지의 발전
좋은 지역사회의 특징(워렌)
- 구성원 사이의 인격적인 관계 형성
- 권력의 폭넓은 분산과 배분
- 다양한 소득집단, 인종집단, 종교집단, 이익집단을 포용
- 높은 수준의 지역적 통제
- 의사결정 과정에서 협력의 극대화, 갈등의 최소화
- 주민들의 자율성 보장
지역사회의 유형화(던햄)
- 인구 크기: 대도시, 중소도시
- 경제적 기반: 어촌, 산촌
- 정부 행정구역: 특별시, 광역시, 시·군·구
- 인구구성의 사회적 특수성: 외국인 밀집 지역 등
지역사회의 기능(길버트와 스펙트)
- 생산·분배·소비 기능 → 경제제도
- 사회화 기능 → 가족제도
- 사회통제 기능 → 정치제도
- 사회통합 기능 → 종교제도
- 상부상조 기능 → 사회복지제도
지역사회 기능의 비교척도(워렌)
- 지역적 자치성: 지역사회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 있어 타 지역에 의존하는 정도
- 서비스 영역의 일치성: 서비스 영역이 동일지역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정도
- 지역에 대한 주민들의 심리적 동일시: 지역주민들이 가지는 소속감의 정도
- 수평적 유형: 지역사회 내의 상이한 단위조직들의 상호 관련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