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계로서의 가족
- 가족은 가족구성원 개개인으로 구성된 전체이며, 지역사회를 구성하고 이에 적응하는 부분으로서의 체계(system)이며 가족은 사회체계의 한 유형이다.
- 전체로서의 가족은 각 부분의 합 이상이다.(비총합성의 원리)
- 가족은 보다 큰 사회체계에 속하며 많은 하위체계를 포함한다.
- 가족의 상위체계로는 지역사회, 확대가족이 있고, 하위체계는 부부체계, 부모 ─ 자녀체계, 형제체계 등이 있다. 이 모든 체계들은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에너지를 교환한다.
- 가족은 규칙에 따라 움직인다.
- 가족 내 한 구성원의 변화는 모든 가족성원에게 영향을 미친다.
가족체계의 역동성
- 가족구성원 모두는 가족 내에서 다른 가족원에게 일어나는 일의 영향을 받는다.
- 가족구성원 각자와 전체로서의 가족은 가족을 둘러싼 다른 많은 환경체계의 영향을 받는다.
가족항상성
- 가족이 안정된 상태로 돌아가려는 경향
- 가족의 구조와 기능에 균형을 유지하려는 속성
경계
- 체계의 내부와 외부 또는 한 체계와 다른 체계를 구분하는 보이지 않는 선
- 경직된 경계: 체계 간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의사소통에 융통성이 없고 다른 체계에 관심을 보이지 않음
- 혼돈된(밀착된) 경계: 체계 간에 독립심과 자율성이 결여되어 있어 지나친 밀착상태에 있으며 체계 간 구분이 어려움
- 명확한 경계: 너무 경직되지도 않고 너무 혼돈되지도 않은 경계이며, 유연하고 융통성이 있음
순환적 인과관계
- 모든 행위는 다른 행위의 한 원인이 되면서 동시에 결과가 된다고 봄
- 문제의 원인이나 근원보다는 문제를 유지하는 가족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게 함
- 순환적 인과성에 따라 가족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왜?”보다는 “무엇”을 하느냐에 초점을 두어야 함. 즉, 문제의 원인(왜?)보다는 문제를 유지시키는 가족의 상호작용(무엇을)에 초점을 둠
가족의 구조 및 기능상의 변화
- 다양한 형태의 가족 유형 증가: 전통적 확대가족이 분화되면서 수정확대가족, 핵가족, 노인가족 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혼율 증가와 함께 한부모가족, 재혼가족도 증가하고 있다. 국제결혼 증가에 따라 다문화가족도 증가하고 있다.
- 가족구조의 단순화 및 가족규모의 축소
- 가족생활주기의 변화
- 전통적 기능의 축소
- 기혼여성의 사회활동 참여 증가에 따른 가사노동 분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