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정의 개념 및 원칙
- 문제확인 단계에서 파악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서비스나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준비단계
- 주요 원칙: 사정의 목표와 초점의 명확화, 제한된 자원과 역량을 고려, 구체적 쟁점이나 문제에 초점, 지역주민의 참여
사정에서 고려할 사항
- 지역사회의 발전 과정
- 정치적·사회적 구조
- 경제적 상황
- 사회문화적 특징
사정의 유형
- 포괄적 사정: 특정한 문제나 표적집단에 한정하지 않고 지역사회 전반을 대상으로 한 사정 유형
- 문제중심 사정: 지역사회에서 우선적으로 해결이 필요한 중요한 영역에 초점을 둔 유형
- 하위체계 사정: 지역사회의 특정 하위체계를 중심으로 사정
- 자원사정: 권력, 전문기술, 재정, 서비스 등 인적·물적 자원 영역을 검토
- 협력 사정: 지역사회 참여자들이 완전한 파트너로서 조사계획, 참여관찰, 분석과 실행 국면 등에 관계되면서 지역사회에 의해 수행되는 사정
사정을 위한 자료수집 방법
▶ 양적 접근
- 구조화된 서베이: 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응답을 구하는 방식
- 사회지표 분석: 통계청, 국가기관, 복지 관련 전문 기관 등에서 진행한 수치화된 자료를 활용하여 욕구를 파악하는 방법
▶ 질적 접근
- 델파이기법: 문제와 관련된 전문 지식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이메일이나 우편 등을 통해 설문지를 발송하여 의견을 취합하는 방식으로 참여자 간 영향력이 미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음
- 명목집단기법: 참여자들이 의견을 무기명으로 적어 제출하면 사회자가 각 내용을 발표한 후 토론을 진행하여 우선순위를 결정. 참여자들이 서로 누가 어떤 의견을 냈는지 모른다는 점은 델파이기법의 장점과 동일함
- 초점집단기법: 소집단으로 구성하여 참여자들의 토론 및 질의응답을 통해 문제에 대한 의견을 듣는 방법. 직접적 욕구조사 방법
- 주요정보제공자기법: 문제외 관련된 전문가, 실무자 등을 통해 대상집단 및 욕구를 파악하는 방법. 간접적 욕구조사 방법
- 지역사회포럼: 모든 지역주민들에게 공개적으로 진행하는 방식으로, 토론자들이 먼저 관련 문제에 대한 설명 및 토론 등을 진행한 후 방청한 지역주민들과의 질의응답 시간을 진행
- 공청회: 정부의 프로그램이나 계획에 대해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포럼과 진행방식은 동일
- 참여관찰: 지역주민의 일상적인 삶에 참여함으로써 주민들의 문제를 듣기도 하고, 주민들이 겪는 문제를 직접 체험하기도 하는 방법. 대표적인 민속지학적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