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화
- 특별한 욕구나 장애를 가진 사람도 지역사회와 분리된 시설이나 병원이 아닌 일상적인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함
- 지역사회 내에서의 통합된 생활을 강조하는 개념
- 덴마크에서는 1951년부터 기존의 격리보호주의에 대한 반대하는 움직임이 일면서, 1959년 정신지체인법에서는 ‘정상화’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등장
사회통합
- 계층의 격차를 줄이고 사회의 전반적인 불평등을 줄이는 것을 추구
- 지역사회의 갈등 및 갈등의 가능성을 줄여나가는 것
- 사회적 약자가 평등하게 지역사회에서 살아가도록 하는 것
탈시설화
- 시설의 규모를 최소화하고 지역사회 내에서의 통합된 삶을 추구하는 개념
- 그룹홈, 주간보호시설, 단기보호시설 등 다양한 시설의 형태를 제시
- 시설의 직원 중심으로 운영되어온 시스템에서 더 나아가 자원봉사자 등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개방적 운영체제로의 변화(시설의 개방화)를 내포함
- 생활시설의 폐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
주민참여
-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지역주민들이 직접 문제의 해결과정에 참여하고 권한을 행사함으로써 주체가 되어야 함을 강조
- 지방분권화, 지방자치제 실시와 함께 더욱 강조되는 이념
- 지자체와 주민 간 파트너십 형성
- 자원봉사 활동
네트워크
- 지역사회주민의 욕구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 내 복지자원의 연계와 주민의 조직화 등을 추구하는 개념
- 서비스 공급자간 연계망 구축, 이용자 간의 조직화 등 다양한 연계망을 구성할 수 있음
-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제공
- 포괄적인 서비스 제공